티스토리 뷰
알뜰폰 요금제에 가입할 때 우리를 가장 난감하게 하는 것은 바로 본인 인증입니다.
평소라면 본인인증 방법으로 휴대전화에 SMS 문자 메세지를 보내 인증번호를 확인하거나, 신분증(주민등록증)을 통해, 또는 체크카드의 카드번호와 유효기간을 확인하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알뜰폰에 가입할 때는 앞서 말한 방법들로 본인인증이 불가능한데요.
자세한 내용은 이전에 작성한 글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이 글에서는 넘어가겠습니다.
알뜰폰 가입본인인증, 체크카드는 안된다고??
알뜰폰 요금제 개통은 대부분 온라인 상에서 진행됩니다. 온라인으로 핸드폰을 개통하는 경우 다른 서비스도 마찬가지이지만 본인인증을 해야 하는데요. 보통 온라인 상에서의 본인인증이라고
pentagon.tistory.com
범용 공동인증서를 발급받으려면..
신용카드가 있다면 신용카드로 본인인증을 진행할 수 있지만, 이마저도 불가능하다면 남은 방법은 범용 공동인증서(구 범용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아서 인증을 진행하는 것 뿐입니다.
하지만 잠깐 사용하고 말 물건인데, 범용 공동인증서의 발급 비용은 크게는 13,200원(부가세 제외 12,000원), 작게는 4,400원(부가세 제외 4,000원)이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지출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 큰 금액은 아니지만, 정말 잠깐 사용하면 더 이상 쓸 일이 없는 것을 알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비용 지출에 거부감이 들 수 밖에 없는데요.
저 역시 이런 고민을 했었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비용 부담을 어떻게 하면 없앨 수 있었는지, 다른 분들과 공유하려 합니다.
무료 발급 이벤트 노리기
핸드폰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하는 휴대폰 포럼으로 유명한 커뮤니티 사이트 뽐뿌에서는 다양한 특가 정보들이 올라옵니다.
이런 정보들 중에는 범용 공동 인증서에 대한 할인 정보 역시 빠지지 않는데요.
뽐뿌 사이트를 둘러보면 다음 이미지와 같이 범용 공동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기회들을 종종 포착할 수 있습니다.
환불받기
그러나 안타깝게도 특별 할인 정보가 내가 필요할 때 등장한다는 법은 없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나에게 필요가 없거나, 이벤트 진행 기간이 끝난 뒤에 발견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정말 잠깐 쓰고 말 것이라면, 약간의 편법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도 있습니다.
공동인증서 역시 결제 상품이기 때문에, 결제일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에 환불을 요청할 수 있는데, 이 점을 이용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KICA 한국정보인증 사이트의 자주묻는 질문에 올라온 내용에 따르면 공동인증서를 신청하고, 결제까지 완료한 경우 SIGNGATE 사이트에서 신청한 경우 결제일로부터 10일 이내, 은행에서 신청한 경우 결제일로부터 7일 이내에 환불신청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방법은 추가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약간의 시간이 더 걸린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은행에서 발급받기
그 다음 방법으로는 은행에서 범용 공동인증서를 발급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일반 시중은행(우리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등)에서 발급받는 범용 공동인증서 역시 유료 결제를 해야 발급받을 수 있지만, 범용 공동인증서를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는 은행들이 일부 존재합니다.
바로 저축은행을 이용하는 방법인데요.
다음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저축은행들 중에는 범용 공동인증서를 무료로 발급해주는 은행이 여럿 존재합니다.
예시로 가져온 저축은행들은 상상인 플러스 저축은행, SBI 저축은행, 예가람 저축은행입니다.
이외에도 다른 저축은행에서도 범용 공동인증서를 무료로 발급해주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용하고 있는 저축은행이 있다면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바로가기
이전 글
알뜰폰 가입방법 3분 안에 끝내드립니다.
알뜰폰 통신사는 대리점이 적기 때문에 가입하는 방법을 알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알뜰폰 통신사들의 경우 대부분 셀프 개통을 통해 가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인데요. 이번 글에서
pentago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