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급제폰의 단점을 이야기하다보면 빠질 수 없는게 자급제폰은 비싸다는 것입니다. 그도 그럴게, 통신사를 통해 스마트폰을 구매한다면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공시지원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데 반해, 자급제폰 구입 시에는 지원받지 못하기 때문인데요.

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최신 스마트폰인 갤럭시 S22 5G 모델을 통신사를 통해 구입한다면 최대 575,000원(약 60만원)을 지원받아 999,900원(약 100만원)짜리 기기를 40만원 정도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자급제폰으로 구매한다면 지원금 없이 100만원을 지불해야 하기때문에 상대적으로 60만원 정도의 금액을 손해보고 구매한다고 생각할 수 밖에 없긴 합니다.

 

사실, 지원금은 눈속임이다.

만약 통신사를 통해서 구매하는 것이 60만원 더 싸게 먹히니까 자급제폰을 사는 것이 무조건 손해라고 생각하고 있다면, 통신사에게 제대로 속으신 겁니다.
우리는 60만원을 지원받기 위해 통신사에게 매달 납부해야하는 요금을 주의깊게 살펴봐야 하는데요. 통신사에서는 매월 143,813원(약 14만원)의 월 이용요금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눈속임의 결과물

매달 14만원 상당의 비용을 약정 기간인 24개월동안 납부한다면 얼마의 금액을 지불하게 될까요? 총 3,451,512원(약 350만원)입니다. 그런데, 알뜰폰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비슷한 서비스의 요금제를 이용한다면 한 달 53,900원이면 됩니다. 24개월이면 1,293,600원(약 130만원)이구요.
그리고 알뜰폰 통신사를 이용하지 않았을 때 손해보는 기회비용(상대적 손실 비용)은 2,157,912원(약 220만원)인데요. 무언가 이상한 점을 눈치채셨을 겁니다.

통신사를 통해 핸드폰을 구매했을 때의 총 비용이, 자급제폰을 구매하고, 알뜰폰 통신사를 이용할 때의 총 비용보다 훨씬 비싸다는 겁니다. 정확한 금액을 계산해보면 1,158,012원(약 120만원, 자급제 비용 포함)을 손해보고 있는거죠.

아직도 자급제폰이 비싸다고 생각하신다면, 다음 링크에서 지금까지 얼마의 비용을 손해보고 있었던 것인지 직접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이통3사 vs 알뜰폰 자회사 요금제 비교해보기

이통3사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자회사와 이통3사에서 제공하는 요금제의 월 이용요금이 얼마나 차이나는지 직접 확인하고, 비교해보실 수 있습니다.

 

알뜰폰 통신사를 처음 접하시나요?

알뜰폰 통신사에 대해 처음 들어보셨다면 다음 글을 확인해보세요.

 

알뜰폰 통신사란?

이용 요금이 너무나도 저렴하게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거의 50%) 알뜰폰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요금제를 처음 보시는 많은 분들이..

 

알뜰폰 요금제에 관심이 생기셨다면

알뜰폰 가입 방법에 대해 알아보시는건 어떨까요?

 

알뜰폰 요금제 가입 방법

알뜰폰 가입 방법 간단설명 알뜰폰 요금제 가입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간단하게 어떤 순서로 진행되는 살펴보겠습니다. 알뜰폰 통신사마다 그 순서가 약간 다를 수도 있지만, 전체적인 과정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Yesterday
36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