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갤럭시 A23 스펙 둘러보기 삼성전자의 보급형 스마트폰인 갤럭시 A 23 모델이 지난 3월 25일 출시되었습니다. 그 스펙은 4GB 메모리, 128GB의 저장 공간, 5천만화소의 OIS를 지원하는 후면 카메라, 스냅드래곤 680 CPU를 장착하고 배터리 용량은 무려 5,000mAh나 되는 고용량 배터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벤치마크 점수는요? A23의 벤치마크 점수는 싱글 코어 383점, 멀티 코어 1618점입니다. 이는 몇년 전에 출시된 플래그십 라인의 갤럭시 S8과 비교했을 때 싱글 코어는 약 14%, 멀티 코어는 약 12% 좋은 점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숫자만으로는 얼마나 좋은건지 알기 어려워요! 맞습니다. 단순히 숫자만 보면 저도 이게 얼마나 빠른 것인지, 그리고 얼마나 좋은 것인지 전혀 감..

갤럭시 a53 출시 가격 갤럭시 a53의 출시 가격은 약 60만원입니다. 그리고 통신사를 통해 스마트폰을 구매하는 경우 기기 구매 금액의 일부를지원받아 출고가보다 더 저렴한 가격에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아시겠지만 사용하는 요금제마다 통신사에서 지원해주는 지원금이 다릅니다. 요금제에 따라 지원금을 얼마까지 주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최대 지원금 알아보기 KT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가장 비싼 5G 요금제를 사용하면 매월 13만원을 납부하는 조건으로 공시지원금 33만원과 추가 지원금 49,500원을 지원받아 총 약 38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최소 지원금 알아보기 KT에서 제공하는 가장 저렴한 5G 요금제는 5G 주니어 슬림으로, 400kbps의 속도제한을 받는 요금제입니다. 매월 약 3만원 정도의 저렴한 ..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의 보급형 라인인 A 시리즈에서 갤럭시 A53 5G 기기를 출시했습니다. 정식 출시일은 올해 4월 1일입니다. 기기 스펙 대표적인 기기 스펙으로는 안드로이드 12 OS, 엑시노스 1280, 6GB의 메모리와 128GB의 내부 저장 공간, 최대 6,400만 화소의 쿼드 카메라 그리고 5,000mAh 용량의 배터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 스펙인걸까? 솔직히, 이렇게 기기에 탑재된 내부 부품들의 이름을 나열하더라도 저와 같은 일반인들의 시선에서는 얼마나 좋은 것인지 감이 잘 잡히지 않는데요. 그래서 비슷한 성능의 비교대상을 찾아봤습니다. 비교대상은 지난 2019년에 출시된 갤럭시 노트 10+입니다. 노트 10 플러스의 벤치마크는 좌측의 이미지고, 갤럭시 a53의 벤치마크가 우측의 이..

자급제는 비싸게 살 수 밖에 없다. 통신사를 통해 갤럭시 S22 Ultra를 구입하면 최대 약 58만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시기에 따라 변동할 수 있음.) 반면, 갤럭시 S22 Ultra를 자급제로 구매하게 된다면 1,551,00원(512GB 기준)을 그대로 결제해야 구매할 수 있는데요. 통신사에서 구매하면 100만원 조금 안되는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데, 굳이 통신사를 통하지 않고 반올림하면 200만원(비약이 심하것 같지만 반올림하면 그렇습니다.) 가까운 비용을 지불해가며 사는 사람들이 이해가 가지 않는데요. 그런데, 사실 자급제폰을 구매하는 것이 통신사를 통해 구매하는 것보다 더 저렴하다고 한다면 믿기시나요? 저렴해지는 비밀은 바로 이것! 자급제폰이 통신사를 통해 스마트폰을 구입하는것보다 ..

국감서도 집중포화 맞은 `5G 품질 논란` 여야 의원들, 비싼 요금제 질타 5G 28㎓ 대역 정책 불변 재확인 "알뜰폰 사업 제한해야" 의견도 통신사 임원 "기대 못미쳐 송구" "고객이 봉이냐." 올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news.naver.com 서비스가 개시된지 몇 년이 지났지만 5G 품질 논란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소오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5G 통신품질에 대해 질책을 받을 정도입니다. 품질 논란에도 비싼 요금제 특히 5G 요금제의 경우 기존 4G LTE에서 사용할 수 있었던 요금제보다 월 납부요금이 더 비쌉니다. 일부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5G 통신 연결이 불안정해서 5G 단말기를 사용하고 5G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지만 일부러 5G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LTE로만 사용하고 있..

1mbps, 3mbps, 5mbps.. 스마트폰 요금제를 살펴보신 분이라면 한 번 쯤은 본 적이 있을 단어들입니다. 이런 단어들은 모두 데이터 속도의 단위인데요. 솔직히 말해서, 데이터는 우리의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단위를 알려줘도 그 속도를 가늠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우리들의 생활 속에서 데이터 속도를 가늠해볼 수 있는 것을 통해서 데이터 속도를 느껴보자!" 라는 생각을 해보았는데요. 그 대상으로 많은 분들이 핸드폰으로 보시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인 유튜브와 넷플릭스를 기준으로 알아봤습니다. 유튜브에서 3mbps는? 유튜브에서는 데이터 전송속도별로 권장되는 동영상 해상도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1Mbps의 속도로 안정된 동영상 시청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해상도는 SD와 HD 화질의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