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승인 하에 2G폰 서비스가 공식적으로 서비스 종료를 승인받기도 했었고.. 그보다 이전부터 각 통신사들은 2G폰 이용자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재난문자를 받지 못하는 2G폰 이용자들에게 3G나 LTE를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무료로 교체시켜주는 지원 사업을 진행했던 것인데요. "폭염문자 못받는 2G폰 무료교체"…2G 가입자 줄이기? (서울=뉴스1) 강은성 기자 = 현재 212만명에 달하는 2세대(2G) 가입자를 오는 2020년까지 모두 4G 롱텀에볼루션(LTE)으로 전환시켜야 하는 '숙제'를 가진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연이은 폭염을 2G폰 news.naver.com 기사를 보면 2018년에 시행된 사업이었습니다. 당연히 지금도 2G폰을 무료로..

누군가 저에게 [무선 데이터 전송 속도가 무려 1mbps나 됩니다!]라고 말한다면 저는 이렇게 되물을 겁니다. 그래서, 1mbps면 얼마나 빠른 건가요?? 라고요. 저는 자동차가 눈앞에서 시속 30km, 시속 60km로 번갈아가며 지나간다고 하더라도 '아, 이번엔 조금 느리네.', '이번엔 빠른데?' 정도로밖에 생각하지 못할 정도로 속도에 대한 감이 없습니다. 둔하죠.. 눈으로 직접 본 물체의 속도도 이렇게 둔감하게 느끼는데, 눈으로 보이지 않는 데이터의 속도는 더더욱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그나마 제가 이해할 수 있는 기준으로 1mbps로 가능한 것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 속도제한 무제한 요금제 사용을 고민 중이신가요? 요즘 무제한 요금제들은 기본 제공량을 모두 소진하면 400kb, 1mbps,..

과학기술정보통신부(줄이면 과기부? 과기정통부?)에서 에스케이텔레콤(SKT)의 2세대(2G) 이동통신 서비스 폐지 승인을 했습니다. 관련 내용 보도자료 배포 일자는.. 2020년 6월 15일이네요. 보도자료 내용 자료 내용을 살펴보면 sk텔레콤은 2019년 11월 7일에 2G 서비스 폐지 승인을 신청했었고, 과기정통부는 2차례 보완 요구와 반려, 4회에 걸친 현장점검, 전문가 자문회의, 의견청취 등을 거친 후게 승인 여부를 최종 판단했다고 합니다. 현장점검 당시 2G망이 1996년부터 약 25년간 운영되고 있어 노후화가 심해 고장이 크게 늘었고, 수리하고 싶어도 예비부품이 부족해 수리가 불가능한 품목이 존재해 지속적인 운영을 계속할 경우 서비스 장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결론은 서비스 품..

02, 031, 032와 같은 지역번호나, 010, 011, 016과 같은 휴대전화 식별번호를 빼고 핸드폰으로 전화를 걸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010-XXXX-YYYY"가 아닌 "XXXX-YYYY"와 같은 방식으로요. 집전화를 사용하던 세대라면 "XXXX-YYYY"로 전화를 해도 지역번호가 붙어서 "02-XXXX-YYYY"로 전화가 걸리는 거 아닐까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요. 핸드폰으로 이런 식별번호를 제외하고 전화통화를 시도하면 놀랍게도 "010-XXXX-YYYY"로 전화가 걸립니다.(저만 놀라워한건 아니길 바랍니다.. ㅎㅎ) 그런데, 이렇게 010을 빼고 전화를 하는 방법에 대한 한 가지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었는데요. 010을 빼고 전화 하면 전화 요금이 할인된다?? 010을 빼고 전화를..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근 10년 사이에 휴대전화 번호가 변해버렸습니다. 기존에 단순 전화 기능만 있었던 휴대폰이 한창이었던 2G시대를 벗어나 지금의 LTE, 5G 세상의 필수품인 스마트폰이 등장하기 시작한 3G시대에 돌입하면서, 기존 011, 016, 017 등이었던 기존의 "01X" 번호를 "010"으로 전환하는 것이 의무화되었기 때문인데요. 010 번호로 변경하는 것이 의무화되면서 바뀐 것은 휴대전화번호 앞 세자리뿐만 아니라 개인 전화번호의 중간 번호(국번)도 바꿔놓았습니다. `01X 가입자` 140만명, `010` 의무전환 카운트다운…휴대폰 번호 갈등 예고 3G와 롱텀에벌루션(LTE)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010`이 아닌 011·016·017 등 `01X` 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기한..

최근 알뜰폰 시장의 급성장으로 많은 소비자들이 기존 이통3사(KT, SKT, LG U+)에서 알뜰폰 통신사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알뜰폰 통신사에서는 기존 이통3사와 동일한 서비스를 절반도 안되는 가격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젊은 MZ세대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요. 우체국에서도 이런 흐름을 놓치지 않고 여러 알뜰폰 통신사와 연계해서 알뜰폰 요금제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우체국에서 제공하고 있는 알뜰폰 요금제는 다음 과 같은데요. 우체국에서 제공하는 알뜰요금제들은 기존 이통3사대비 매우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얼마나 저렴한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한 가지 예시를 들어보자면.. 월 납부요금, 얼마나 차이날까? 우체국에서 제공하는 이야기(100분+6GB) 후불 요금제의 월납부요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