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호이동 하시면 스마트폰을 공짜로 드립니다!! 핸드폰 대리점 앞을 지나가다보면 자주 보이는 문구입니다. 이외에도 "할부원금 0원" 또는 "최신폰으로 무료교체해드립니다" 등등 우리들의 눈길을 끄는 광고 팜플렛들을 한 번 쯤은 보았을 겁니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나 세상에 공짜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런데, 스마트폰을 "공짜"로 준다는 감언이설에 홀랑 넘어가버리기 전에, "왜" 스마트폰을 공짜로 주는 것인지 생각해본적 있으신가요? 이번에 할 이야기는 공짜 스마트폰 속 숨겨진 비용에 대해서입니다. 공짜 스마트폰은 어떻게 생겨나는 걸까? 먼저 어떻게 해서 공짜 스마트폰이 생겨나는지, 그 구조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최근에 출시되는 갤럭시, 아이폰 등 최신 스마트폰의 가격은 점..

알뜰폰 하면 많은 분들이 메이저 통신사(kt, skt, lg) 대비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떠올리실 것 같습니다. 그도 그럴게, 최근들어 알뜰폰 통신사들이 고객 유치를 위해 하고 있는 대표적인 마케팅 수단이 바로 3만원대의 저렴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이니까요. 월 3만원대 무제한 요금제..편의점, 알뜰폰 창구로 '쑥쑥' 알뜰폰과 편의점의 '협업'이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알뜰폰 업체들은 온라인 홈페이지 외에는 고객을 유인할 요인이 부족한 터라, 편의점을 활용하면 큰 비용 없이 오프라인 매장을 news.v.daum.net 저 역시도 마찬가지로 알뜰폰을 처음 접하게 된 계기도 한달에 3만원 정도의 요금 납부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통해 접하..

알뜰폰이라는 서비스에 대해 이야기하다보면 가장 많이 갖고 있는 인식이 바로 "서비스"가 메이저 통신사(kt, skt, lg)에 비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알뜰폰은 메이저 통신사의 통신망을 사용권을 빌려서 사업을 영위하는 임대 사업이기 때문에 통신 품질에서 차이가 날 수는 없는데요. 이렇게 서비스 품질이 동일한 것은 알뜰폰 통신사에서 내세우는 마케팅 전략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생길 수 밖에 없는데요. 사람들은 "왜" 알뜰폰 통신사는 서비스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게 되었을까요? 저는 그 원인 중 하나랄 미흡한 고객센터 인프라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알뜰폰 통신사의 가장 큰 적, 고객센터 핸드폰 관련 커뮤니티들 중에서 빠지면 섭한 곳이 바로 뽐뿌입니다. 특히 뽐뿌에서 운영하는 포..

알뜰폰 통신사에 대해 이야기해보면 가장 많이 생기는 문제가 바로 고객센터 연결에 대한 문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핸드폰 개통의 성지로 통하는 뽐뿌의 휴대폰 포럼에서도 "알뜰폰 고객센터"라는 키워드로 어떤 글들이 올라왔었는지 검색해보면 다음과 같이 고객센터에 대한 불평과 불만이 가득한 글들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알뜰폰 통신사가 막 출범되기 시작한 초기보다는 괜찮아 지기는 했지만.. 아직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추지 못한 업체들은 여전히 고객센터 인프라가 충분히 구성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업체들이 아직 남아있기 때문에 알뜰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여전히 남아있는 것이겠죠. 알뜰폰 단점들에 대한 오해와 내가 알뜰요금제를 쓰는 이유 알뜰폰 통신사에는 꽤나 많은 단점들이 있다고 알려져있습니..

신불자 상태에서 휴대폰을 개통하려고 이것 저것 찾아보면 이런 말을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신불자여도 휴대폰 즉시 개통 가능! 신불자여도 본인 명의로 핸드폰을 개통해 드립니다! 위와 같은 말들인데요. 신불자가 되면 생기는 불편한 점들 먼저, 신불자가 되면 일상 생활 속에서 가능했던 많은 것들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불편해집니다. 신용 카드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지금까지 사용해왔던 핸드폰도 사용이 불가능해집니다. 그저 "신용" 하나를 잃어버렸다는 이유로 신불자(신용불량자)에게는 많은 제약이 생기는 겁니다. 특히 핸드폰의 경우 본인 명의가 아니라면 단순히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보내는 단순 연락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문제가 없을 수도 있겠지만, 4차 산업혁명시기를 지난 요즘 21세기에..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의 가격을 보면 100만원을 훌쩍 넘어 200만원 가까이 웃돌고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1~2년을 사용하다가 교체하기 때문에 1개월로 환산하면 매월 약 17만원(2년 기준)의 고정 지출이 있는 것과 동일한데요. 점점 더 비싸지는 스마트폰들 최신 스마트폰의 출시 가격은 애플의 아이폰 13은 약 140만원, 삼성의 갤럭시 z 폴드는 약 200만원, 갤럭시 z 플립은 약 130만원, 갤럭시 s 21은 약 100~120만원 사이에 판매되고 있습니다.(자급제 기준) 매월 17만원이라는 금액은 누군가에게는 저렴한 가격일 수도 있지만, 누군가에게는 크게 부담되는 가격이기도 합니다. 9,160원으로 결정된 2022년 최저시급을 월급으로 환산하면 대략 191만원이 나오는데, 17만원은 최저임금의 10..